1
말레이시아의 GDP는 3,124$억 세계 35위 (2013MF 기준)
명목 GDP | (2012), 3,124억 달러(2013) |
---|---|
실질경제성장률 | 5.6%(2012), 4.7%(2013) |
1인당 명목소득 | 10,432 달러 (2012), 10,513 달러 (2013) |
실업률 | 3.1% (2012), 3.0% (2013) |
화폐단위 | Ringgit Malaysia(RM,링깃) |
소비자물가지수 | 3.0% (2012), 3.3% (2013) |
환율 | 1000 원= RM3.09 (2014년 10월 기준) 1 달러 = RM3.28 (2014년 10월 기준) |
총 외채 | 1,011억 달러(2012) 1,001억 달러(2013) |
외환 보유고 | 139억 달러 (2012) 134.8억 달러 (2013) |
산업 구조 | 농업 10.1%, 광업 10.4%, 제조업 24.2%, 건설업 3.9%. 서비스업 50.4%,기타1.1% (2012) |
교역 규모 |
|
교역품 |
|
2
말레이시아 경제 지표
내용(2013) | 비고 | |
---|---|---|
경상 GDP | US$ 3,124 억 | 말레이시아 통계국, 4.7% 성장(2013), 5.6% 성장(2012) |
1인당 GDP | US$ 10,060 | 말레이시아 통계국, PPP기준 US$ 16,743 |
수출액 | US$ 2,332 억 | 말레이시아 통계국 |
수입액 | US$ 1,939 억 | 말레이시아 통계국 |
무역수지 | US$ 393 억 | 말레이시아 통계국 |
경상수지 | US$ 118 억 | 말레이시아 통계국 |
FDI유입 | US$ 123 억 | 말레이시아 통계국, FDI 유출 US$ 136억 |
물가상승률 | 2.10% | 말레이시아 통계국 |
실업률 | 3.10% | 말레이시아 통계국, 외국인 노동력 의존도 심각 |
내용(2013) | 비고 | |
---|---|---|
관광 입국자 | 2,572 만명 | 말레이시아 관광국 |
인구증가율 | 1.60% | 말레이시아 통계국 |
문맹률 | 5.9% (2012) | 말레이시아 통계국 (15세 이상 남녀) |
3
말레이시아 산업 구조
구분 | GDP 구성비율 (2012→2013년)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
1차산업(9.3%) | 팜오일 | 4.5 → 3.9% | 플랜테이션 농업 |
고무 | 0.9 → 0.6% | ||
2차산업(38.1%) | 광산업 | 10.3 → 10.0% | Petronas 등 글로벌기업 존재 |
건설 | 3.9 → 4.2% | ||
정유,화학 | 8.4 → 8.2% | ||
전기전자산업 | 5.0 → 5.0% | Penang 중심 외국인투자 | |
수송기계산업 | 2.7 → 2.9% | 자동차, 선박 | |
3차산업(51.5%) | 도소매 | 12.1 → 12.5% | |
금융(보험 포함) | 7.5 → 7.4% | 이슬람 금융 비중 20% | |
통신 | 3.2 → 3.3% |
4
말레이시아의 대외경제 측면에서 수출 실적이 꾸준히 증가 하고 있음
구분 | 지표 | 단위 | 2013 |
---|---|---|---|
국가일반 | 인구 | (명) | 약 3,007 만명 |
면적 | ㎢ | 330,252 ㎢ | |
한반도 대비면적 | 배 | 1.5 |
지표 | 단위 | 2009 | 2010 | 2011 | 2012 | 2013 | 2014(F) | 2015(F)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대내경제 | 경제성장률 | % | -1.5 | 7.4 | 5.1 | 5.6 | 4.7 | 5.1 | 5.5 |
1인당 GDP | US $ | 7,203 | 8,633 | 9,979 | 10,345 | 10,518 | 11,036 | 12,426 | |
명목 GDP | 억 US$ | 2,023 | 2,475 | 2,890 | 3,047 | 3,124 | 3,333 | 3,815 | |
정부부채/GDP | % | 44.5 | 47.4 | 48.6 | 50.0 | 51.7 | 51.8 | 52.3 | |
소비자물가상승률 | % | 1.0 | 2.1 | 3.0 | 1.2 | 3.2 | 2.8 | 3.6 | |
민간소비증가율 | % | 0.6 | 6.9 | 6.8 | 7.7 | 7.6 | 6.5 | 6.5 | |
실업률 | % | 3.7 | 3.3 | 3.1 | 3.0 | 3.1 | 3.1 | 2.9 | |
대외경제 | 수출실적 | 억 US$ | 1,581 | 1,993 | 2,286 | 2,277 | 2,240 | 2,369 | 2,511 |
수입실적 | 억 US$ | 1,173 | 1,570 | 1,791 | 1,869 | 1,902 | 1,975 | 2,097 | |
무역수지 | 억 US$ | 408 | 423 | 495 | 408 | 337 | 394 | 413 | |
총 외채 | 억 US$ | 698 | 851 | 945 | 1,040 | 1,036 | 1,061 | 1,094 | |
외환보유고 | 억 US$ | 967 | 1,065 | 1,336 | 1,397 | 1,349 | 1,382 | 1,433 | |
이자율 | % | 4.8 | 4.9 | 4.8 | 4.7 | 4.6 | 4.8 | 5.3 | |
환율 | US $ | 3.42 | 3.08 | 3.18 | 3.60 | 3.28 | 3.13 | 2.93 |
- 주로 주석, 팜유, 석유를 생산/수출하며, 제조업과 관광업을 주요 산업기반으로 삼고 있음
- 경제는 전적으로 농업, 광업 등 1·2차 산업에 의존하고 있음
- 말레이시아는 세계최대 주석, 천연 고무, 팜유 생산국으로 1960년대만해도 주요수출품이 주석과 팜유 였음
- 이후 정부의 강력한 경제정책으로 말레이시아는 동남아국가 중 3번째로 국민소득이 높은 나라가 되었으며, 주요 산업도 관광업과 제조업으로 전환
- 농업에 있어서는 주산물이 쌀, 고무, 코프라 등임
- 쌀은 국민의 주식이지만, 쌀 자급률이 30%에 불과해, 자급자족하지 않고 매년 다량의 쌀을 수입, 따라서 정부는 관개사업 실시, 벼의 품종 개량 등을 통해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데에 주력하고 있음
- 말레이시아는 세계최대의 고무 생산국으로, 수출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, 합성고무가 발달했으나, 고무 농원 노동자 등의 문제도 함께 발생하고 있음
- 그 외에도 열대과일 재배, 도시근교 채소, 원예농업이 발달되어 있음
- 광업에서는 주석광(錫鑛)과 철광이 압도적으로 중요한데 이는 세계 최대 주석 생산국으로 주석광은 서해안 몬타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충적토를 준설(浚渫)하여 채굴하며 주석을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했기 때문임
- 철광은 동해안에 있으며 그 대부분이 일본으로 수출됨
5
말레이시아 시장 특성
- 내수시장 급팽창
- 연간 5% 이상 고속성장 지속
- 중산층 인구 증가 : 2,300만 명(2008) → 3,300만 명(2020)
- 인프라 수요확대
- 빠른 산업화, 도시화(2011, 73% 수준, 연 2.5%) 진행
- 인프라 환경 개선 노력 지속
- 젊은 인구
- 인구의 87.4%가 54세 이하의 젊은 인구
- 일(생산기지)하고 소비(내수성장)하는 시장
- 소비시장과 결제권력
- 다민족 및 다 종교 사회(말레이, 화교, 인도 계 공존)
- 일반 상업(화교 계), 정부 및 정부연계기업(말레이 계)
- 경제한류 확산
- 한류 확산이 성숙단계로 진입
- 美·食·通 3대 분야 중심으로 우리기업 진출 증가
6
2012~2013년 건설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GDP 성장률을 보임
연도 | 농업 | 광업/채석업 | 제조업 | 건설업 | 서비스업 | 수입관세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1년 1분기 | 33.4 | 2.6 | 9.9 | 8.0 | 9.3 | 16.1 |
11년 2분기 | 42.4 | 6.0 | 9.4 | 5.9 | 9.8 | 15.8 |
11년 3분기 | 29.5 | 6.4 | 10.8 | 9.5 | 8.6 | 24.9 |
11년 4분기 | 4.8 | 11.5 | 9.9 | 13.6 | 9.0 | 0.5 |
12년 1분기 | -8.7 | 14.2 | 6.6 | 21.7 | 8.9 | 30.0 |
12년 2분기 | -13.3 | 9.3 | 8.0 | 27.9 | 9.7 | 12.2 |
12년 3분기 | -7.7 | 1.5 | 4.6 | 21.7 | 9.3 | 12.1 |
12년 4분기 | -7.3 | -0.3 | 5.4 | 19.9 | 8.6 | 16.0 |
13년 1분기 | -7.1 | -4.0 | -0.9 | 16.3 | 6.3 | 5.1 |
13년 2분기 | -12.4 | -5.5 | 1.6 | 11.8 | 5.5 | 7.7 |
13년 3분기 | -3.5 | 3.3 | 3.4 | 12.1 | 6.7 | 6.1 |
7
셀랑고 지역 내 쿠알라룸푸르의 서비스업 및 제조업 비율이 높음
[지역별 서비스업 비율]

[지역별 제조업 비율]

[지역별 농업 비율]
[Source : StatisticsMalaysia]

8
비즈니스 에티켓
- 무슬림의 나라
- 신체적 접촉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, 특히 여성과의 신체 접촉 주의
- 샤리아 법 적용 (종교경찰)
- '개'를 터부 시
- 음식문화의 차이
- 말레이계 : 돼지고기 No!, 술 No! (이슬람교)
- 중국계 : 쇠고기 No! (일부 불교도)
- 인도계 : 쇠고기 No! (힌두교)
- 생활문화의 차이
- 말레이시아 비하 발언 No! … 체면을 중시
- 민감한 이슈 Talk No! … 인종 갈등, 정치, 사회, 종교적 사안 등
- 머리, 머리카락 … Touch No!
- 사물 또는 방향을 가리킬 때에는 주먹을 쥐고 엄지손가락을 사용
- 기타
- Uniform 선호 … 범죄에 악용도
9
경제동향

- 연간 5% 성장세 유지 : 2020년 고소득 사회 달성 목표
- 2013년 4.7%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발표
- 세계 경기 호전에 따른 수출 호조와 국내 수요의 견고한 뒷받침
- 국내 소비 8.3% 증가, 민간 부분 자본 지출 8.6%증가(3/4분기)
- 2014년도 말레이시아 예산안 경제 예측
- 경제성장률 : 5.0 ~ 5.5%(건설업 9.6%, 서비스 산업 5.7% 성장 예상)- 민간 소비 증가율 6.2%, 민간 투자 증가율 12.7%, 수출 증가율 2.5%
- 최근 경제 동향
- 2014년 상반기 중에 6.3%의 성장률을 기록
- 안정적인 고용여건과 임금 상승에 따른 가계 소득 증가로 민간 소비가 전년 동기 대비 6.85%증가(한국은 2.0~2.3%증가)
- 민간 투자는 경제적 불확실성 해소 및 양호한 기업 자금 조달 여건을 반영, 12.6%가 증가
- 민간 소비, 민간 투자 및 수출 증가 등의 성장 견인에 따라, 전망치 이상의 성장 기대
- 2014년 상반기 중에 6.3%의 성장률을 기록
10
수출입 동향

- 수출 2013년 하반기 이후 성장세(8.9%)가 뚜렷
- ASEAN 지역내 수출 7.2%증가(비중: 26.8% → 28.0%)
- 제조업 수출은 2.7% 증가(비중 : 67.1%, E&E : 32.9%)
- 수입은 2010년 이후 지속 급증하는 추세 유지
- 원 부자재(4.3%증가) 및 소비재(8.7% 증가)가 수입 증가를 주도
- 원부자재는 전기전자(비중:27.7%), 화학(8.6%), 기계 및 부품(8.4%) 차지
- 중국 및 아세안의 수입 비중은 확대 되는 반면 일본, 싱가포르 수입은 감소
품목 | 중국 | 싱가포르 | 일본 | 미국 | 태국 | 대만 | 한국 | 인도네시아 | 독일 | 베트남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증감률(%) | 16.4 | -0.3 | -9.6 | 3.9 | 8.4 | 25 | 24.7 | -10.1 | -1.3 | 18.1 |
(수입 비중,%) | -16.4 | -12.4 | -8.7 | -7.9 | -6 | -4.9 | -4.7 | -4.3 | -3.6 | -2.9 |
11
외국인 투자 동향
- 2013년 중에 신규 투자(내외국인) 승인액은 29%증가
- 2016년 한국은 미국에 이어 제조업 분야 투자 2위 국가 기록
- 미국 19건(RM 6,321백만), 한국 13건(RM5,479백만), 싱가포르 126견(RM5,422백만), 일본 55건(RM3,592백만)
- 2013년 산업별 외국인 투자 분야는 전기전자, 기초금속, 화학, 석유 분야 순
- 전기전자(RM8,496백만), 기초금속(RM4,426백만), 화학(RM3,756백만), 석유(RM3,243백만), 식품(RM2,298백만)


댓글
댓글이 없습니다.